예의규범 |
다음 사항은 예를 행할시 지켜야 할 규범이다. 첫째 상하를 불문하고 존중, 감사하는 마음으로 한다. 둘째 당당한 자세로서 몸가짐이 단정하고 품위가 있어야 한다. 셋째 절도가 있어야 한다. |
다섯가지 예 |
- 국기에 대한 예 - - 도장에 대한 예 - - 사범에 대한 예 - - 상호간의 예 - - 제자나 후배에게 하는 예 - |
입 례 ![]() |
선 자세로 절을 하는것을 입례라고 한다. - 방 법 - |
좌 례 ![]() |
- 정좌 - 무릎을 꿇고 자세를 바르게, 예의있게 앉는 것을 정좌라 함. ◈ 방법 - 좌례 - 정좌의 자세로서 절을 하는 것을 좌례라고 한다. ◈ 방법 ◈ 유의점 |
기 타 |
- 경기 또는 연습시의 예 - 시작할 때는 서로 일정한 거리(약9보)에서 칼을 오른손에 들고 (차렷) 마주서서 입례를 한뒤, 칼을 왼손에 바꾸어 잡아 허리에 차고 (허리-죽도,목도의 경우는 허리의 칼)크게 세 걸음 앞으로 나아가 칼을 뽑는다. 끝날 때는 칼을꽂고 시작할 때의 위치로 물러나온 뒤 칼을 오른손에 바꾸어 들고 입례를 한다. 죽도를 사용하는 연습이나 경기때는 왼손으로 차렷칼 자세에서 인사하고 허리의 칼자세를 취한 후 다음 동작을 한다. - 칼에 대한 예- 칼은 검도 수련에서 가장 중요한 도구이므로 항상 소중하게 다루어야 한다. 바닥에 짚고 선다거나 던지거나 넘어 다니지 않도록 조심하여야 한다. 도(刀)의 경우는 대개 날이 서 있으므로 특히 조심해서 다루어야 한다. 주고 받을 때는 반드시 두 손으로 하며, 주는 쪽에서는 왼손이 칼집의 입, 오른손이 칼집의 중간 부분을 잡고 칼등이 상대를 향하게 하여야 한다. |
'검도관련 > 검도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검도 승단심사 필기준비-3. 선(先)에 대해서 논하라. (0) | 2013.10.26 |
---|---|
검도 승단심사 필기준비-2. 심판원으로서 마음의 자세에 대하여 논하라. (0) | 2013.10.26 |
검도 승단심사 필기준비-1. 지도자로서의 자격에 논하라. (0) | 2013.10.26 |
검도용어(계속업데이트중) (0) | 2013.10.21 |
일본검도용어 (0) | 2013.10.13 |
검도기술,명칭 영어버젼 (0) | 2013.10.13 |
경기도 검도회 제5차정기승단심사학과문제집 (0) | 2013.10.13 |